화살표함수1 화살표 함수 일단 기본적인 함수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함수 선언식 function add(a,b) { return a + b } // 함수 표현식 const sub = function(a,b) { return a - b } 이 함수를 화살표 함수로 바꾸게 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화살표 함수로 변경 add = (a,b) => { return a + b } sub = (a,b) => { return a - b } 즉, function이라고 적힌 부분이 => 로 화살표로 바뀐 형태입니다. 추가로 매개 변수에 따른 상황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리고 화살표 함수안에는 this가 없기에 this를 쓰면 외부에서 가져오게 됩니다. () => { ...}// 매개 변수 없을 경우 x => {...}// 매개변수가.. 2022. 12.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