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주차7

[항해9기] 알고리즘 모의고사 문제 [ 이 문제에 대한 출처는 스파르타코딩클럽, 항해99입니다. ] ▶ 숫자 거꾸로 더하기 예를 들어 숫자가 123456 으로 주어졌을때 결과 값은 6+5+4+3+2+1 = 123456의 합 으로 나와야 합니다. function solution(n) { let arr = n.toString().split("").reverse() let sum = 0 for (let i = 0; i < arr.length; i++) { sum += Number(arr[i]) } let k = `${arr.join("+")} = ${sum}` return k } console.log(solution(718253)) 풀이 방식 1. 그냥 숫자가 들어오기 때문에 먼저 각 숫자를 분리 시키기 위해 toString()으로 변환을 해주.. 2022. 9. 28.
9.26~10.02 WIL Map 매서드 ▶ Map 작동 방식 - map은 배열 내의 모든 요소 가각에 대하여 주어진 함수를 호풀한 결과를 모아 새로운 배열을 반환 let arr = [1,2] // 배열자체를 바로 들고옴 -> [1,2] console.log(arr) // arr1안에 들어있는 값을 순차적으로 꺼내옴 -> 1 줄바꿈 2 let m = arr.map(x => console.log(x)) // let n = arr1.map(x => console.log(x*2)) let arr2 = [[1,2],[3,4]] // 풀어서 설명하면 x의 index 값을 [1,2] [3,4] 를 가져와서 그걸 map을 또 시키면 각 원소의 값을 가져올 수 있음 // 여기서 i는 index를 의미 , arr3안에 들어있는 값을 순차적으로 꺼.. 2022. 9. 26.
[항해 99기 9기] 2주차 JavaScript 과제 JavaScript의 자료형과 JavaScript만의 특성은 무엇일까? 1. 느슨한 타입(loosely typed)의 동적(dynamic) 언어 JavsScript의 변수는 어떤 특정 타입과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 뜻은 변수가 어떤값을 받는 그 형태로 변환 혹은 재할당이 가능합니다. 사진과 같이 처음에는 string이라는 변수에 'sparta'를 넣고 그 타입을 찍어보고, 그다음에는 새 변수가 아 닌 string 변수에 2를 대입하고, 찍고, 마지막으로 true를 넣고 찍어봤습니다. 그 결과는 새 변수를 넣을 필요 없이 바로바로 타입을 바꿔가면서 재 할당을 할 수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2. JavaScript 형변환 다른 언어도 마찬가지겠지만, 형변환은 크게 두가지가 존재합니다. 먼저 문자.. 2022. 9. 23.
1주차에 만든 팬명록에 날씨 추가하기 배운 내용을 가지고 만든 부분이기 때문에 따로 설명 없이 올려놓겠습니다. 벤(Ban) 팬명록 현재기온: 00.0 닉네임 응원댓글 응원 남기기 새로운 앨범 너무 멋져요! 세균맨 새로운 앨범 너무 멋져요! 호빵맨 새로운 앨범 너무 멋져요! 식빵맨 결과입니다. 2022. 8. 31.
JQuery + Ajax의 조합 JQuery + Ajax 로 합쳐진 문제를 풀기에 앞서 먼저 Ajax를 설명해드리겠습니다. Ajax는 어렵고, 다양한 작업을 웹페이지에 구현하기 위해서 웹페이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이 Ajax의 형태를 보여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Ajax코드에서 type은 GET, POST방식을 다 받을 수 있는데 지금은 GET만 사용하고 나중에 POST 사용 법을 추가로 작성하겠습니다. url은 요청할 url , data는 요청하면서 함께 줄 데이터 인데 단순히 데이터를 받아오는 경우에는 줄 내용이 없으니 비워두시면 됩니다. 성공적으로 받아오는 경우에 대해서 success에 어떤 방식으로 결과를 나타낼지 코드를 작성해 주면 됩니다. 문제를 통해서 확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를.. 2022. 8. 31.
서버-클라이언트 통신 이해하기 Ajax를 시작하기에 앞서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을 먼저 이해해보고자 합니다. 서버 -> 클라이언트 : JSON 과 클라이언트 -> 서버 : GET 요청으로 볼 수 있는데 JSON을 먼저 보여드리면 이런 형태입니다. (참고로 OpenAPI 자체를 올려드릴 수는 없으므로, 공공데이터포털기관에서 API를 가져오는 방법도 존재하니 검색해보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현재 사진은 배운 수업 자료의 일부분 입니다.) 이 형태를 좀 더 나눠서 보여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른 언어들을 포함에서 딕셔너리를 배우셨다면 형태가 많이 익숙하실껍니다. 즉, JSON은 Key:Value로 이루어진 딕셔너리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혹시 딕셔너리가 무엇인지 잘 모르시는 분들은 구글링 해서 찾아보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 우리가 .. 2022. 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