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b
- 트랜스파일러
- 9.19~12.23
- 5주차
- 비동기
- HTTPS
- 스파르타코딩클럽
- 4주차
- NestJS 설치법
- Node.js
- 9기 화이팅
- 숙제
- Get
- 2주차
- TCP 4-way Handshake
- MongoDB
- 부트스트랩
- SQL
- JWT
- 위키백과
- 항해99
- OpenAPI
- nginx
- 웹 스크래핑(크롤링)
- cors
- 개발일지
- NoSQL
- 1주차
- 3주차
- post
- Today
- 0
- Total
- 1,952
목록전체 글 (85)
얼음꽃의 일지
SQL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표의 기본 형태 -> 테이블 or 릴레이션 : 표 자체를 의미 -> 스키마 or 필드 : 첫번째 열에 나와있는 각 행의 무엇을 뜻하는지 알려주는 것 -> 인스턴스 or 데이터파트 : 실제 데이터가 들어가는 파트 -> 튜플 : 테이블에서 행의 개수를 의미 * 실행 순서 : from -> on -> join -> where -> group by -> having -> select -> distinct -> order by -> top -> limit 1. 데이터를 불러오기 select -> 표에서 모든 데이터를 불러오기 : select * from 표 이름 -> 만약 표의 특정 필드만 가져올꺼면 * 대신 그 특정 필드의 이름을 가져오면 됨 2. 조건에 맞게 필터링 : whe..
비밀번호 정규식 최소 8 자, 최소 하나의 문자 및 하나의 숫자 --> /^(?=.*[A-Za-z])(?=.*\d)[A-Za-z\d]{8,}$/ 최소 8 자, 최소 하나의 문자, 하나의 숫자 및 하나의 특수 문자 --> /^(?=.*[A-Za-z])(?=.*\d)(?=.*[$@$!%*#?&])[A-Za-z\d$@$!%*#?&]{8,}$/ 최소 8 자, 대문자 하나 이상, 소문자 하나 및 숫자 하나 --> /^(?=.*[a-z])(?=.*[A-Z])(?=.*\d)[a-zA-Z\d]{8,}$/ 최소 8 자, 대문자 하나 이상, 소문자 하나, 숫자 하나 및 특수 문자 하나 이상 --> /^(?=.*[a-z])(?=.*[A-Z])(?=.*\d)(?=.*[$@$!%*?&])[A-Za-z\d$@$!%*?&]{8,}..

보통 구성은 이런형태입니다. 시스템 상으로 Client에서 전달되어서 받는 과정은 보통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1. app.module.ts에 있는 controller와 provider를 연결 2. client에서 요청하면 controller로 이동 3. controller에서 연결된 Get, Post, Patch, Put, Delete 등 요구사항 체크 후 service로 이동 4. service에서 연결된 DB에서 값 찾기 5. 거슬러 올라가서 전달
NestJS -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Node.js 서버 측 어플리케이션 구축하기 위한 FrameWork - JavaScript + TypeScript 사용 - Express가 기본 값 + 강력한 HTTP Server FrameWork - TypeScript로 인해 오류를 좀 저 줄일 수 있음 https://docs.nestjs.com/ Documentation | NestJS - A progressive Node.js framework Nest is a framework for building efficient, scalable Node.js server-side applications. It uses progressive JavaScript, is built with TypeScript and co..

2022.09.19 ~ 2022.12.23 항해99 9기 99일간의 여정이 끝났다.. 99일간의 여정을 되돌아보자!! 목차 1. 항해99를 선택한 이유 2. 지원과정 3. 사전준비 4. 항해99 여정 5. 항해99 장단점 6. 항해99 후기 7. 마무리 항해99를 신청하게 된 이유! 저는 먼저 편입으로 대학교에 들어가서 학점만 주구장창 따느라 바빠서 컴공과 임에도 프로젝트를 많이 못했습니다. 그래서 저한테 필요한건 협업과 프로젝트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어 3개월 동안 빡세게 할 수 있는 항해99 를 선택했습니다. 지원과정 항해99를 신청하고 면접까지 시간이 얼마 안걸렸습니다. 지원하고나서 바로 언제 게더 면접 하실게요!! 해서 게더 면접을 진행하였고, 면접내용은 보통 1. 항해를 왜 지원했는지, 2. 항..

2022.09.19 : 항해 시작! + OT 항해 스타트를 했습니다! OT를 시작하고 팀원들과 어색어색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프로젝트의 주제를 정하고 그 프로젝트를 관련해서 S.A를 만들었습니다! https://iceflower.tistory.com/27 [Chapter 1] 5조 S.A(Starting Assignment) 1. 프로젝트명 타임뮤직 (탐뮤) 2. 소개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음악 음악은 언제나 우리와 함께였지..☆ 지구 뿅뿅 음악실 그 시절 우리가 좋아했던 노래 3. 와이어프레임 3 - 1) 메 iceflower.tistory.com 2022.09.20 : 미니 프로젝트 01 기본적인 뼈대를 만들고, 회원가입, 로그인, 메인페이지, 댓글 & 좋아요 로 나눠서 시작했습니다. 저는 좋아요..
사용자 패스워드를 보관 시 -> 암호화를 진행 -> 대신 암호화를 할때 단방향, 양방향을 고려 -> 단방향(해싱)으로 할시에 복호화가 불가능하고, 속도는 느리지만, 안정성 좋음 -> 양방향으로 살시에 복호화가 가능하고, 속도는 빠르지만, 유출 가능성 있음 단방향 -> 데이터를 완전히 매핑시켜서 완전히 다른 암호화로 변경 -> 다이제스트라고 부름 -> 복호화 불가능 -> salt나 해시함수 여러번 시행을 안하게 되면 동일한 메시지 혹은 비밀번호는 동일한 다이제스트를 가짐 -> 이러한 동일한 다이제스트를 모아둔 테이블을 레인보우 테이블이라고 함 -> 해시 함수 여러번 수행, salt를 하게되면 유출을 어느정도 막을 수 있음 -> Key Streching : 다이제스트 여러번 암호화 -> Salt : 해시 함..
트랜스파일러(Transpiling) - 특정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비슷한 다른 언어로 변환시키는 행위 - 모든 브라우저가 ES6+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이전 버전인 ES5로 변환시켜줌 - JSX, TypeScript -> JS로 변환 가능 번들러(Bundler) - 모듈단위로 파일 엮어서 개발하는 방식을 하게되면 의존성에 문제가 생김 - 이 문제를 해결해주는 아이가 번들러 - 각각의 모듈의 의존성에 해결하여 하나의 자바스립트 파일로 만듦과 동시에 ES6+ 스펙을 ES5로 변환까지 해주는 도구